뷔르츠부르크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뷔르츠부르크 대학교는 1402년 설립된 독일 바이에른주에 위치한 유서 깊은 대학교이다. 1402년 설립 이후, 여러 차례의 재건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1901년부터 2008년까지 10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며 학문적 명성을 얻었다. 가톨릭 신학, 법학, 의학, 인문학 등 다양한 학부와 연구 기관을 운영하며, 2만 명 이상의 학생들이 재학 중이다. 뷔르츠부르크 대학교는 세계 대학 순위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국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82년 개교 - 에든버러 대학교
에든버러 대학교는 1582년 제임스 6세에 의해 설립된 스코틀랜드의 대학교로,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의학 및 과학 분야에서 업적을 이루었고 현재는 국제적인 명성을 가진 연구 중심 대학이다.
뷔르츠부르크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대학 이름 | 율리우스-막시밀리안 대학교 뷔르츠부르크 |
원어 이름 | Julius-Maximilians-Universität Würzburg |
모토 | Veritati |
모토 (한국어) | 진리에 헌신 |
설립일 | 1402년 (1415년–1582년 폐쇄) |
대학 종류 | 공립 |
예산 | 3억 2480만 유로 |
총장 | 우베 클루크 |
교직원 | 2,371명 |
행정 직원 | 1,745명 |
학생 수 | 27,092명 |
위치 | 뷔르츠부르크 |
주 | 바이에른 |
국가 | 독일 |
캠퍼스 | 도시형 |
대학 색상 | 파란색 하얀색 |
웹사이트 | uni-wuerzburg.de |
![]() | |
소속 | |
소속 단체 | U15 코임브라 그룹 |
2. 역사
'''뷔르츠부르크 대학교'''(Julius-Maximilians-Universität Würzburg)는 1582년에 뷔르츠부르크의 주교 율리우스 에히터 폰 메스펠브룬(Julius Echter von Mespelbrunn)과 19세기 초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요제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의 역사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 1402년 최초 설립과 쇠퇴
- 1582년 재건과 발전
- 20세기 이후
최초 설립과정과 재건, 그리고 20세기 이후의 과정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18세기부터 20세기 초반까지의 과정을 간략하게 요약한다.
18세기, 뷔르츠부르크 대학교는 가톨릭 신학의 영향을 받았지만, 점차 계몽주의 사조를 수용하기 시작했다. 1734년 프리드리히 카를 폰 쇤본 주교는 새로운 학습 규정을 발표하여 비가톨릭 신자들에게도 대학교를 개방했다. 1773년 뷔르츠부르크 예수회 대학이 해산된 후, 아담 프리드리히 폰 자인스하임은 계몽주의 추종자들을 신학부에 고용하여 미래 방향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19세기 초, 뷔르츠부르크가 바이에른의 통치하에 들어가면서 대학교는 교회 가톨릭 성격을 버렸다.
의학 분야의 발전도 두드러졌다. 1767년 내과의이자 화학자인 프란츠 하인리히 마이놀프 빌헬름이 율리우스슈피탈 병원의 초대 원장이 되었고, 1769년 외과대학 클리닉은 카를 카스파르 폰 지볼트에 의해 설립되었다. 1796년에는 안톤 뮐러가 병원 최초의 정신과 의사가 되었다.
대프랑스 동맹 전쟁 기간 동안, 대학의 이름은 여러 번 변경되었다. 1838/39년 겨울 학기에 "Königliche Universität zu Würzburg"는 "Königliche Julius-Maximilians-Universität"로 개명되었고, 2년 후에는 거의 80년 동안 사용될 이름인 "Königlich Bayerische Julius-Maximilians-Universität"로 개명되었다.
1850년 이후, 대학은 급격한 발전을 경험했다. 1896년에는 "Neue Universität"라고 불리는 새로운 본관이 산데링에 준공되었다.
1896년 6월 3일, 마르첼라 오그래디 보베리가 뷔르츠부르크 의과대학에 입학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최초로 자격을 얻은 여성은 1929년 심리학자 마리아 쇼른이었다.
1901년부터 1911년까지 5명의 뷔르츠부르크 연구원이 노벨상을 수상했다.[18]
2. 1. 1402년 최초 설립

뷔르츠부르크 대학교는 1401년 에글로프슈타인가(House of Egloffstein) 출신 요한(Johann) 대주교의 주도로 "뷔르츠부르크 고등학문학교(High School of Würzburg)"로 설립되었다. 그는 "헤르비폴렌제 김나지움(Gymnasium herbipolense)"을 4개 학부를 갖춘 대학교로 탈바꿈시키고자 했다. 이를 통해 영토 내에 교수진과 학생들이 유입되어 유능한 법률가와 성직자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고, 도시 경제의 활성화를 이끌어내고자 했던 것이다. 그는 대학교 운영에 필요한 건물을 성당 장의 구성원들로부터 매입했다.
1402년 12월 10일, 그는 보니파시오 9세로부터 필요한 특권을 부여받았다.[8][9] 이로써 뷔르츠부르크는 당시 독일어권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들 – 프라하(1348), 빈(1365), 하이델베르크(1386), 쾰른(1388), 에르푸르트(1392) – 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었고, 바이에른 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가 되었다. 대학교 교수진에는 비난트 폰 슈테크(Winand von Steeg)[10], 요하네스 암분디(Johannes Ambundi), 바르톨로메우스 프뢰바인(Bartholomäus Fröwein)[11] 등이 있었다.
하지만 1430년 이전에, 에글로프슈타인 대주교 사후 곧바로 교육이 중단되었다. 쇠퇴의 주된 원인은 자체 수입이 있는 재단을 설립하지 못했기 때문에 자금 부족이었다. 1413년 11월 30일, 대학교 총장 요한 잔트푸르트(Johann Zantfurt)가 자신의 시종에게 살해당했는데, 그 경위는 밝혀지지 않았다. 나중에 로렌츠 프라이스(Lorenz Fries)가 대학교 건물을 매입했다. 1427년, "호에 슐레(Hohe Schule)"가 문서에 마지막으로 언급되었다. 그 당시에는 아직 폐교된 것은 아니었지만, 무의미해진 상태였다. 1558년 대주교가 된 프리드리히 폰 비어스베르크(Friedrich von Wirsberg)는 처음으로 대학교 재건을 고려했다. 그러나 성직자와 행정부의 문제로 인해 그의 계획을 실현할 수 없었다.
2. 2. 1582년 재건과 발전
1551년 일부 과목 수업이 재개되고 1567년 최초로 박사 학위가 수여된 후, 1575년 종교개혁 기간 중 뷔르츠부르크의 주교 율리우스 엑터 폰 메스펠브룬은 황제와 교황의 특권을 얻어 대학교를 재건하였다.[12] 에라스무스 노이슈테터가 이 일을 도왔다. 이때는 자금 조달이 더 잘 이루어졌고 학생 규정도 더 엄격해졌다. 1582년 1월 2일,[13] 신학부와 철학부가 먼저 다시 문을 열었고 학장들이 임명되었다. 대학교의 이름은 "Academia Iulia"(율리우스 대학교)였다.[14] 대학교 인장[15]은 다음 해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1583년을 새겼다. 의학부 규정은 1587년에 만들어졌다. 강사 수는 1593년에야 완전히 채워졌지만, 에버스브룬 출신의 게오르크 레이예러라는 최초의 의학과 학생은 이미 1585년 10월 2일에 등록하였다.1591년에는 율리우스 엑터가 의뢰한 4개의 날개를 가진 대학교 건물과 그 한쪽 귀퉁이에 있는 교회(노이바우키르헤)가 완공되었다. 건물의 설계자는 게오르크 로빈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신학자, 법학자, 인문학자들은 오늘날 "알테 우니베르지테트"(구 대학교)라고 불리는 이 건물에 들어갔다. 의학부는 율리우스슈피탈에 자리를 잡았다.
2. 3. 20세기 이후
1800년경, 뷔르츠부르크에서 최초의 학생회가 설립되었다. 1918/19년 11월 혁명으로 바이에른의 군주제가 끝난 후, 대학교는 "Königlich Bayerisch"라는 칭호를 잃고 현재의 이름인 "Julius-Maximilians-Universität"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8]1933년부터 1945년까지 뷔르츠부르크 대학교는 184명의 과학자의 박사 학위를 박탈했다. 특히 유대인 출신 과학자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좌천되었다. 2010년 이러한 사건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 이후, 대학교는 2011년 5월 공개 행사에서 이러한 연구자들을 사후에 복권시켰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신학부가 1945년 10월 1일에 가장 먼저 재개교하였다. 이어서 의학부(학장: 위르크 추트[19])가 1947년 1월 11일 설립총회를 통해 공식적으로 재개교하여 1946/47년 겨울 학기에 강의를 시작하였다. 1947년 3월 12일, 대학교가 공식적으로 재개교되었다.
총장 요제프 마르틴(언어학자)의 보고서에 따르면, 군정 당국은 1945년 이전에 근무했던 교수 150명 중 123명을 해임하고 27명만 대학교 강의를 할 수 있도록 허가하였다.
1965년 5월 11일, 대학교는 뷔르츠부르크 동쪽 언덕에 새로운 후블란트 캠퍼스의 기공식을 거행하였다. 이 부지는 이미 1962년 바이에른 자유주가 뷔르츠부르크 시로부터 알마 줄리아에 등록된 6,000명이 넘는 학생들을 수용하기 위해 매입한 것이었다. 2011년에는 후블란트 캠퍼스에 모든 학부를 위한 중앙 강의실 및 세미나 건물(Z6)과 자연 과학을 위한 새로운 인턴십 건물이 개관하였다.
1973년,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는 10,000명이 넘는 학생들이 등록하였고, 이전의 음악원은 음악 대학교가 되었다.
2011년 4월 12일, 대학교는 후블란트 캠퍼스 바로 옆에 새로운 노스 캠퍼스를 개설하였다. 39헥타르의 추가 부지가 대학교의 미래 발전을 위해 확보되었다. 노스 캠퍼스는 이전에 미군 기지(라이트턴 막사)였다.
2. 4. 나치 시대의 어두운 역사
이 절은 기여가 필요한 토막글입니다.3. 캠퍼스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의 중앙 행정부, 외국인 유학생 사무소, 그리고 여러 연구소들은 구시가지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대적인 인문학 캠퍼스는 도시 동쪽에서 뷔르츠부르크 시가지를 내려다보고 있다. 현재 대학교에는 약 2만 9천 명의 학생이 있으며, 그중 1천 명 이상이 외국 출신이다.[2]
연구소와 병원들은 대학교의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도시 전체에 분산되어 있다. 주요 시설들은 다음과 같다.
위치 | 시설 |
---|---|
달렌베르크(Dallenberg) | 식물원을 포함한 식물학, 약용 생물학 |
그롬뷔르(Grombühl) | 의학, 대학병원, 루돌프 비르초 센터(통합 및 중개 생체 영상 센터) |
후블란트(Hubland) | |
비텔스바허플라츠(Wittelsbacherplatz) | 사회학과, 정치학과, 교육학과, 특수교육학과 |
노이에 우니베르지테트(Neue Universität) | |
레지덴츠(Residence) | 고전어학과, 이집트학과, 동양학과, 철학과, 고대사학과, 선사 및 고대사학과, 고고학과 |
도머슐슈트라세(Domerschulstraße), | |
비브라슈트라세(Bibrastraße) 14 | 가톨릭 신학과 |
시내 중심가 및 플라이히(Pleich) | 치과, 뷔르츠부르크 대학병원 치과, 구강 및 악안면 외과 |
뢴트겐링(Röntgenring) | |
페어스바허슈트라세(Versbacher Straße) | 약리학과, 독성학과, 바이러스학과, 면역생물학과, 의학 방사선학과 |
유덴뷔르베크(Judenbühlweg) | 체육관 |
4. 학부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는 다음과 같은 학부들이 있다.
학부 |
---|
가톨릭 신학부 |
법학부 |
의학부 (인체의학, 치의학, 생의학) |
인문학부 (역사학, 어문학 및 문화학, 지리학 연구) |
인문과학부 |
생물학부 |
화학 및 약학부 |
수학 및 컴퓨터 과학부 |
물리학 및 천문학부 |
경영 및 경제학부 |
제1철학부 |
제2철학부 |
지구과학부 |
5. 연구 기관
- 포괄적 심부전 센터 (DZHI) [1]
- 고등교육연구소 (IfH)
- 아돌프 뷔르트 심리학 역사 센터 (AWZ)
- 뷔르츠부르크 광물학 박물관 [2]
- 분자 감염 생물학 연구소 (IMIB)
- 마르틴 폰 바그너 박물관 (MvW) [3]
- 루돌프 비르초 통합 및 중개 생체영상 연구센터 (RVZ) [4]
- 테오도르 보베리 생명과학 연구소 [5]
- 실험 분자 의학 센터 (ZEMM) [6]
- 감염병 연구 센터 (ZINF) [7]
- 헬름홀츠 감염 연구 센터 (HIRI) [8]
- 막스 플랑크 시스템 면역 연구 그룹 (WÜSI) [9]
- 바이에른 응용 에너지 연구 센터 (ZAE) [10]
- 뷔르츠부르크 학제 간 생체 재료 및 데이터 은행 (ibdw) [11]
6. 국제 관계
지볼트가 뷔르츠부르크 대학교를 졸업했다는 점에서 메이지 시대 초부터 일본인 유학생들이 이 대학교에서 공부했다.[25][26]
6. 1. 한국과의 관계
지볼트가 뷔르츠부르크 대학교를 졸업했다는 점에서 메이지 시대 초부터 일본인 유학생들이 이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1872년에는 하시모토 쓰나네가, 1888년에는 그의 장남도 학적을 등록했다. 그의 동급생으로는 가네스기 에이고로, 후지노 쇼타로, 미야시타 슌키치, 이토 킨조, 기타가와 오츠지로(1864-1922, 귀국 후 와카야마현립병원장, 나고야 고세이칸 병원장, 나고야 의사회 회장[25]), 마고시 도쿠타로(마고시 쿄헤이의 장남), 나가토 쇼키치, 오니시 슈지(육군 이등 군의)가 있었다.[26]7. 평가
뷔르츠부르크 대학교는 여러 대학 순위에서 세계 및 국가 순위가 매겨졌다. 2024년 QS 세계 대학 순위는 이 대학교를 세계 440위, 독일 23위에 위치시켰다.[21] 2024년 타임스 고등교육 세계 대학 순위에 따르면 세계 175위, 국가 17위에 자리하고 있다.[22] 2023년 ARWU 세계 순위에서 뷔르츠부르크 대학교는 세계 201~300위, 국가 10~19위에 속한다.[23]
8. 노벨상 수상자
수상 연도 | 이름 | 분야 |
---|---|---|
1901년 |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 물리학상 |
1902년 | 에밀 피셔 | 화학상 |
1903년 | 스반테 아레니우스 | 화학상 |
1907년 | 에두아르트 부흐너 | 화학상 |
1909년 | 페르디난트 브라운 | 물리학상 |
1911년 | 빌헬름 비엔 | 물리학상 |
1914년 | 막스 폰 라우에 | 물리학상 |
1919년 | 요하네스 슈타르크 | 물리학상 |
1920년 | 발터 네른스트 | 화학상 |
1930년 | 칼 란트슈타이너 | 생리학·의학상 |
1935년 | 한스 슈페만 | 생리학·의학상 |
1985년 | 클라우스 폰 클리칭 | 물리학상 |
1988년 | 하르트무트 미헬 | 화학상 |
2008년 | 하랄트 추어 하우젠 | 생리학·의학상 |
참조
[1]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https://www.uni-wuer[...]
2022-01-28
[2]
웹사이트
The University of Würzburg: a History of Success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Würzburg
2015-04-21
[3]
웹사이트
University of Würzburg – Research in Bavaria
https://www.research[...]
2023-10-09
[4]
웹사이트
German U15 e.V.
https://www.german-u[...]
2011-05-28
[5]
웹사이트
CG Member Universities
http://www.coimbra-g[...]
2014-09-15
[6]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 Universität Würzburg
https://www.uni-wuer[...]
2023-02-07
[7]
웹사이트
University of Würzburg
https://www.britanni[...]
1998-01-01
[8]
웹사이트
Timeline – University Archives
https://www.uni-wuer[...]
2022-10-26
[9]
웹사이트
Gründungsprivileg Papst Bonifaz IX. für die Universität Würzburg (Rom 1402)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Würzburg
2022-10-26
[10]
서적
Bosls bayerische Biographie
http://digital.bib-b[...]
Verlag Friedrich Pustet
2023-10-09
[11]
웹사이트
Bartholomäus – Deutsche Biographie
https://www.deutsche[...]
2023-10-09
[12]
학술지
Protestants as Agents of the Counter-Reformation in the Prince-Bishopric of Bamberg
https://www.jstor.or[...]
2009
[13]
웹사이트
Foundation 1582 – University Archives
https://www.uni-wuer[...]
2022-10-26
[14]
서적
Empowerment and representation at the university in early modern Germany : Helmstedt and Würzburg, 1576–1634
Harrassowitz
[15]
웹사이트
Siegel – Universitätsarchiv
https://www.uni-wuer[...]
2022-10-26
[16]
학술지
[Steadiness and progress. Medicine in Würzburg in the mirror of the centuries – a contribution to the foundation of the University of Würzburg 600 years ago]
https://pubmed.ncbi.[...]
2003
[17]
뉴스
Würzburgs erstes "Biozentrum"
https://www.mainpost[...]
2003-09-09
[18]
웹사이트
Nobel Laureates – University Archives
https://www.uni-wuer[...]
2023-10-09
[19]
ebook
A New Field in Mind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
웹사이트
Würzburg first university to get "Bayern barrierefrei" accessibility label
https://www.uni-wuer[...]
University of Würzburg
2016-03-18
[21]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www.topunive[...]
2023-07-16
[22]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www.timeshig[...]
2023-09-27
[23]
웹사이트
2023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https://www.shanghai[...]
2023-08-15
[24]
간행물
二〇世紀の地理学者たち 第32回 ヘルマン・フローン
古今書院
[25]
웹사이트
北川乙治郎
https://kotobank.jp/[...]
[26]
간행물
明治期ドイツ留学生,橋本 春(Hashimoto Hasime) の生涯
http://mikkojuku.com[...]
中央大学
2012-03-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